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표준프레임워크
- 소스코드보는법익히기
- 티파라찌
- install에러
- opencvwithcudano
- 기본소스코드끌어오기
- 운암동점심
- CSS
- 전체파일내키워드찾기
- 달달한하루
- 소스분석
- 광주꾸덕꾸덕
- root접근하기
- 강의리추어탕본점
- 빈생성에러
- 다시또봐요
- 스프링부트환경설정
- importjetson
- 광주광역시운암동
- 운암동돈까스맛집
- 기세이다
- ദ്ദി( ◠‿◠ )
- 뷰리졸버설정
- 광주광역시이색카페
- 하나이름생각이나지않고
- 자바파일업로드
- 담백하답니다
- 디저트는
- fastapi
- 매력이다이다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reate-react-app폴더명 #react입문 #react환경셋팅 (1)
개발자 구겹이

1. React 환경을 셋팅해주기 위해 cmd창에 다음 명령어를 써줍니다.npx create-react-app [ class-react-server ] >> 정상적으로 실행이 됐다면, 'class-react-server' 라는 이름의 폴더가 생겼을 거예요. 그럼, 여기서 저는 yarn을 설치하고 이 모듈을 이용해 웹으로 리액트 앱을 시작시킬건데요. 2. 생성된 리액트 환경의 폴더인 'class-react-server'가 있는 경로로 가서 필요 모듈을 설치시켜주고 2-1. terminal > new terminal 을 열고,열린 terminal의 우측 상단에 + 옆의 v 아이콘 클릭을 통해 cmd창 기능을 활성화시켜줍니다. 2-2. 다음 명령어로 저는 yarn을 설치할거라능npm install ..
react
2024. 6. 26. 10:5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