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opencvwithcudano
- 티파라찌
- 광주광역시운암동
- 매력이다이다
- 운암동점심
- 표준프레임워크
- 자바파일업로드
- 권한확인명령어
- 담백하답니다
- 로그아웃정의
- 운암동돈까스맛집
- 스프링부트
- fastapi
- 전체파일내키워드찾기
- 다시또봐요
- install에러
- ls-ld
- 빈생성에러
- 기본소스코드끌어오기
- 광주꾸덕꾸덕
- importjetson
- CSS
- 소스코드보는법익히기
- 기세이다
- 소스분석
- root접근하기
- 리눅스selinux
- 강의리추어탕본점
- 리눅스
- jsp렌더링
- Today
- Total
목록java/springboot (5)
개발자 구겹이

jsp는 동적인 데이터를 웹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고전적인 방법인가보다좀 더 업그레이드가 된 스프링부트 버전은 jsp보다 thymleaf가 추천되는거 같다 조금 겪어본 결과, 타임리프는 개발환경에서 결과를 느리게 확인할 수 있는고구마 타입의 것이다 그래서 jsp렌더링과 친해지기로 했다 [스프링부트에서 jsp 렌더링을 위해 필요한 설정 사항들]1. 의존성 추가 + war 패키징 설정2. application.properties 설정 3. web.xml, root-context.xml, servlet-context.xml 추가 및 설정 1. 의존성 추가 + war 패키징 설정 war■ project 태그의 자식으로 packaging 태그를 추가해준다. js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jar가 아닌 war로 패키..
StringBoot의 Servlet (HttpServletRequest)기능으로 사용해서 업로드 할 거기 때문에 CRUD 게시판을 단순히 만들어 둔 곳에 input type=file을 추가하고 환경설정 몇가지를 해주면 됩니다. 1. HTML 코드 추가 2.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설정 추가 spring.servlet.multipart.enabled=truespring.servlet.multipart.max-request-size=30MBspring.servlet.multipart.max-file-size=10MB 3. @Transactional 서비스 구현 단 추가@Autowired private HttpServletRequest request;@Transaction..

안녕하세요. 스프링부트를 헤엄치고 있는 초보개발자 구겹입니다. 스프링부트가 많은 환경설정을 손쉽게 도와준다길래 음 그냥 설정에 관한 코드는 필요없이 본 서비스 로직으로 고고하는건가? 했는데 그건 아닌거 같더라고요. 먼저 mvc 패턴을 쓸 수 있도록 구동 스타트를 했을 때,이 작동 뜨레드들이 뷰를 어떻게 해서 어떤 곳의 경로의 페이지를 참고해서 페이지 표현을 해줄 수 있도록 약간의 환경설정과 함께 뷰에 대한 객체... 몸통... 우리 그 붕어빵 틀... ,그것과 함께 실제 찍어낸 붕어빵.... 인스턴스를 함께 만들어줄 수 있도록 설정 코드를 쳐줘야 합니다. @Contiguration, @Bean애노테이션들과 함께 말이예요. ദ്ദി( ◠‿◠ )..

스프링부트에서 프로젝트를 run할 때 : 웹 구동할 때 웹에 출력될 페이지의 default mapping ~ root path를 설정할 때는 프로젝트 내의 ♧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서 설정 사항을 추가해주자 spring.thymeleaf.prefix = classpath:templates/thymeleaf/ □ 본래 기본 출력되는 루트는 /static/index.html이다 □ templates폴더 하위에 thymeleaf 폴더를 수동으로 생성해주자 spring.thymeleaf.check-template-location = truespring.thymeleaf.suffix = .htmlspring.thymeleaf.mode = HTMLspring.thymeleaf..

springboot MVC, 전자정부프레임워크 개발 취업, 이직을 생각하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키왈D ㅎ pom.xml ← 의존성 추가,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maven이 해당 파일을 가지고 필요한 사항들을 build해줄것이므로,함부러 그 관할 구역을 건드리지 말자 localhost:portN → static폴더를 가리킴 ← index.html 을 출력localhost:portN/index.html ← index.html 을 출력 ■ thymeleaf 문법으로 템플릿엔진을 사용한다는 /templates 폴더로 접근하고 싶다 ← Controller 패키지를 만들고 그 안에 method를 담은 .java를 만들어 준다 기억하자, ctrl + shift + O // @annotation..